백두대간이란?
(산림청 자료)
백두대간은 우리 민족 고유의 지리인식체계이며 백두산에서 시작되어 금강산, 설악산을 거쳐 지리산에
이르는 한반도의 중심산 줄기로서, 총길이는 약 1,400km에 이릅니다.
지질구조에 기반한 산맥체계와는 달리 지표 분수계(分水界)를 중심으로 산의 흐름을 파악하고 인간의
생활권 형성에 미친 영향을 고려한 인간과 자연이 조화를 이루는 산지인식 체계입니다.
※ 1대간 1정간 13정맥으로 표시된 15개의 산줄기들은 10개의 큰 강에 물을 대는 젖줄이자 그것을
구획하는 울타리 입니다.
1대간 : 백두대간 (백두산∼두류산∼금강산∼설악산∼오대산∼태백산∼속리산∼덕유산∼지리산)
1정간 : 장백정간(원산∼서수라곶산)
13정맥 : 청북정맥(낭림산∼미곶산)
청남정맥(낭림산∼광량진)
해서정맥(개연산∼장산곶)
임진북예성남정맥(개연산∼풍덕치)
한북정맥(분수령∼장명산)
한남정맥(칠현산∼문수산)
한남금북정맥(속리산∼칠현산)
금북정맥(칠현산∼안흥진)
금남정맥(마이산∼조룡산)
금남호남정맥(장안치∼마이산)
호남정맥(마이산∼백운산)
낙동정맥(태백산∼몰운대)
낙남정맥(지리산∼분산)
※산이름으로 된 것(2개) : 백두대간, 장백정간
※지방이름으로 된 것(2개) : 호남정맥, 해서정맥
※강이름으로 된 것(11개)
10대강 : 두만강, 압록강, 청천강, 대동강, 예성강, 임진강, 한강, 금강, 낙동강, 섬진강
山經表에 나타난 白頭大幹
총 124개소 : 산(山) 57개소, 령(岺)> 48개소, 치(峙) 8개소, 현(峴) 7개소, 봉(峰) 4개소
백두산 → 연지봉 → 허항령 → 보다회산 → 사이봉 → 완항령 → 어은령 → 원산 → 마등령 → 괘산령
→황토령 → 천수령 → 조가령 → 후치령 → 향령 → 태백산 → 부전령 → 대백역 산 → 황초령
→ 사향산 → 설한령 → 낭림산 → 상검산 →마유 산 → 횡천령 → 두무산 → 애전산 → 철옹산
→ 오강산 → 운령 → 무라발산 → 거차산 → 토령 → 장좌령 → 대아치 → 죽전령 →기린령 → 재령산
→ 화여산 → 두류산 → 노동현 → 반룡산 →마은산 → 노 인치 → 박달령 → 백학산 → 예운령 → 설탄령
→분수령 → 청하령 → 추포령 → 풍류산 → 철령 → 판기령 → 기죽령 → 저유령 → 추지령 → 판막령
→ 선령 → 온정령 → 금강산 →회전령
→ 진부령 → 마기라산 → 흘리령 → 미시파령(미시령) → 설악 →오색령(한계령) → 연수령 → 조침령
→ 구룡령 → 오대산→ 대관령 →삽당령 → 백봉령 → 두타산 → 청옥산 → 죽현 → 건의령 → 대박산
→ 태백산 → 수다산 → 백병산 → 마아산 → 곶적산 → 소백산 →죽령 → 도솔산 → 작성산 → 대미산
→ 계립산 → 조령 → 이화현 → 희양산 → 주현 → 대야산 → 불일산 → 화산 →속리산 →구봉산
→ 봉황산 → 웅현 → 웅이산 → 고산 → 흑운산 → 추풍령 → 계방산 → 황악산 → 삼성산 → 우두산
→ 삼도봉 → 대덕산 →덕유산 → 백암봉 → 봉황산 → 육십치 → 장안치 → 본월치 →백운산 → 기치
→ 유치 → 여원치 → 지리산. [강원도 진부령-지리산까지...총1240 Km]
[산림청 자료]
'자전거 > 고개넘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2005.11.14] 백두대간 월령 2차 (0) | 2009.04.13 |
---|---|
[2005.10.31] 백두대간 월령, 그 시작 (0) | 2009.04.13 |
백두대간 월령 기록 (0) | 2009.04.13 |
백두대간 관련 사이트 (0) | 2009.04.13 |
백두대간의 고개 (0) | 2009.04.13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