산악인 오은선씨가 히말라야 8000m 이상의 14좌를 2010.4.27 완등했다는 소식이 있었습니다.
여성산악인 세계 최초라고 합니다.
대단한 일입니다.
하지만 석연치 않은 것들이 있어 안타깝기도 합니다.
석연치 않은 것 중 하나가 작년 말에 있었던 칸첸중가(8586m) 등정입니다.
지나치게 빠른 등정시간과 정상에서의 사진, 등정경로 기억 못함, 그리고 말의 번복.
유명 산악인들까지 의혹을 제기하였고 어떤 산악인은 이런 경우에는 다시 오르기도 한다고 하였습니다. 그 당시 제 생각도 한 번 더 다녀 오는 것이 주변의 의구심을 떨칠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이라 여겼습니다.
관련기사 http://www.hani.co.kr/arti/society/society_general/391332.html
그리고 오은선씨의 등정의 진정성을 의심받는다는 기사도 있습니다.
오씨도 이미 등정한 12좌 가운데 10좌를 무산소로 올랐지만 진정성을 의심받는다. 칼텐부르너는 독일 주간지 <슈피겔>과의 인터뷰에서 “한국의 오은선씨를 아느냐?”라는 질문에 이렇게 말했다. “…그녀에게는 모든 수단을 동원하여 등정하는 것만이 중요한 것 같다. …엄청난 셰르파의 고용, 그녀를 위해 아래부터 위까지 고정 자일을 깔아준 소속 팀의 지원. 그녀는 배낭 하나도 멜 필요가 없다. 모든 것이 준비되어 있으니까. 이것은 매우 의심스러운 스타일이다.”
이에 대해 오씨의 소속사 ‘블랙야크’ 관계자 는 오해라며 “오씨도 12개 중 10개를 무산소로 올랐다. 한국인 지원대도 4명뿐이다”라고 해명했다.
출처 : http://www.sisain.co.kr/news/articleView.html?idxno=4877#
경쟁자의 시기일 수도 있지만 오은선씨 측의 대응이란 것이 무산소 등정과 한국인 지원대 4명이란 것 뿐이고, 칼텐부르너의 의심을 풀만한 답변은 될 수 없어 보입니다.
흔한 경우처럼 오은선씨 본인의 욕심과 후원업체의 마케팅을 위해 어떻게든 "여성 최초"란 수식어를 붙이고자
무리한 것일 수도 있겠습니다.
"여성 최초"로 인정받기 위해 완등했을지라도 위와 같은 방법으로 했다면 널리 인정받지 못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.
인정받기 위해 그 힘든 일을 하고서 인정받지 못하는 상황이 되는 것이지요.
국내에 있는 1천미터도 안 되는 산을 오르는 것도 힘들어 하는 저 같은 이들에게 있어서야 오은선씨는 대단하긴
하지만 그들의 세계에서 인정받지 못할 수 있는 아쉬움이 있습니다.
일부에게만 "여성 최초"로 남지 않기를 바랍니다.
여성산악인 세계 최초라고 합니다.
대단한 일입니다.
하지만 석연치 않은 것들이 있어 안타깝기도 합니다.
석연치 않은 것 중 하나가 작년 말에 있었던 칸첸중가(8586m) 등정입니다.
지나치게 빠른 등정시간과 정상에서의 사진, 등정경로 기억 못함, 그리고 말의 번복.
유명 산악인들까지 의혹을 제기하였고 어떤 산악인은 이런 경우에는 다시 오르기도 한다고 하였습니다. 그 당시 제 생각도 한 번 더 다녀 오는 것이 주변의 의구심을 떨칠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이라 여겼습니다.
관련기사 http://www.hani.co.kr/arti/society/society_general/391332.html
그리고 오은선씨의 등정의 진정성을 의심받는다는 기사도 있습니다.
오씨도 이미 등정한 12좌 가운데 10좌를 무산소로 올랐지만 진정성을 의심받는다. 칼텐부르너는 독일 주간지 <슈피겔>과의 인터뷰에서 “한국의 오은선씨를 아느냐?”라는 질문에 이렇게 말했다. “…그녀에게는 모든 수단을 동원하여 등정하는 것만이 중요한 것 같다. …엄청난 셰르파의 고용, 그녀를 위해 아래부터 위까지 고정 자일을 깔아준 소속 팀의 지원. 그녀는 배낭 하나도 멜 필요가 없다. 모든 것이 준비되어 있으니까. 이것은 매우 의심스러운 스타일이다.”
이에 대해 오씨의 소속사 ‘블랙야크’ 관계자 는 오해라며 “오씨도 12개 중 10개를 무산소로 올랐다. 한국인 지원대도 4명뿐이다”라고 해명했다.
출처 : http://www.sisain.co.kr/news/articleView.html?idxno=4877#
경쟁자의 시기일 수도 있지만 오은선씨 측의 대응이란 것이 무산소 등정과 한국인 지원대 4명이란 것 뿐이고, 칼텐부르너의 의심을 풀만한 답변은 될 수 없어 보입니다.
흔한 경우처럼 오은선씨 본인의 욕심과 후원업체의 마케팅을 위해 어떻게든 "여성 최초"란 수식어를 붙이고자
무리한 것일 수도 있겠습니다.
"여성 최초"로 인정받기 위해 완등했을지라도 위와 같은 방법으로 했다면 널리 인정받지 못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.
인정받기 위해 그 힘든 일을 하고서 인정받지 못하는 상황이 되는 것이지요.
국내에 있는 1천미터도 안 되는 산을 오르는 것도 힘들어 하는 저 같은 이들에게 있어서야 오은선씨는 대단하긴
하지만 그들의 세계에서 인정받지 못할 수 있는 아쉬움이 있습니다.
일부에게만 "여성 최초"로 남지 않기를 바랍니다.
8000 미터 봉우리 목록
'주절주절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전교조 교사 식별법 (2) | 2010.05.06 |
---|---|
이명박의 국민의례 (0) | 2010.05.05 |
검찰 진상조사위원회 위원 명단 (0) | 2010.04.26 |
한겨레 신문 창간 (0) | 2010.04.26 |
MBC 파업의 원인 (0) | 2010.04.23 |